반응형

사이코패스, 소시오패스 어떤 차이인가?

 

 

 

사이코패스 vs 소시오패스

 

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종종 들어보셨을 단어. 사이코패스, 소시오패스

둘 다 보통 사람과는 다른건 아는데 무엇이 다른지 이번글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사이코패스 (Psychopath)


Path는 결핍 또는 이상 을 뜻하는 접미어 이다.

남에게 해를 가하는데 전혀 양심의 거리낌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흔히 쓰인다.

심리학적으로는 반사회적 성격장애라고 말할수 있다.

 

반사회적 성격장애(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= pd) 

- 사회의 규범이나 질서 또는 이익에 반대되는 성질을 말한다. 이 단어는 법적으로 위배되는 행동은 물론, 도덕적으로 위배되는 행동까지 모두를 포함하는 포괄적인 개념이다.

 

DSM-3 부터 사이코패스를 반사회적 성격장애로 명칭을 변경했다.DSM-5에선 청소년기에 품행장애를 보인 적 있는 15세 이상의 사람에게만 진단을 하도록 기준이 엄격히 정해져 있다.

 

간단하게 요약해보면

사이코패스는 처음부터 타인의 고통이나 감정에 공감하는 능력이 아예 없거나, 중증도의 지체 수준이다.

 

 

 

영화 : 악마를 보았다 / 드라마 : 인간수업

 

대표적으로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드라마 인간수업이나 드라마 악마를 보았다 가 기억에 남는다.

 

그렇다면 소시오패스는 무엇인가?

 

 

 

소시오패스 (Sociopath)


소시오패스는 사이코패스와 다르게 의학적으로 등록된 정식명칭이 아니다.

소시오패스는 사이코패스의 하위개념으로 분류합니다.

최근들어 전문가들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비전문가들이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쓰여진 책들에서만 사용합니다.

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에는 아직 정확히 선을 그을 수 없는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.

 

그러기에 분류는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있습니다.

 

 

사이코패스는 앞서 말했듯 감정이 결핍되어 있습니다.

사이코패스가 느끼는 감정이라고는 짜증남? 정도 입니다.

하지만 소시오패스는 사이코패스보다 더 충동적이고, 느끼는 감정의 정도도 약간 더 높은 편입니다.

 

 

 

사이코패스 vs 소시오패스


 

 

 

 

사이코패스와 달리 소시오패스는 다른 사람과 미약하나마 애착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.

또한 과거의 학대를 연상시키는 상황에서는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격렬한 분노를 느끼는데, 이를 '소시오패스적 격노'라고 지칭

 

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이코패스는 선천적 장애이며, 소시오패스는 후천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.

일반적으로 사람이 느끼는 도덕과 양심을 예로 들어보겠다.

 

보통의 사람은 도둑질이나 거짓말을 하면 죄책감을 느낀다.

왜? 나쁜짓이라는것을 다 알고 이해하니까.

 

하지만 사이코패스의 경우 도둑질을 하고 남에게 피해를 주는 거짓말을 하는것에 대해서 잘못된 것인지를 모른다.

소시오패스의 경우에는 이게 잘못된 것인지 인지는 한다. 하지만 어쩌라고? 라는 식이다.

 

즉 사이코패스는 자신이 나쁜사람인지 모른다.

하지만 소시오패스는 자신이 나쁜사람인지 알고 있다.

 

그래서 보통 범죄율이 많지는 않지만 범죄를 보면 사이코패스는 사기의 유형이 많고 소시오패스는 살인 등 잔혹한 범죄유형이 많은편이다.

(확실한것은 사이코패스, 소시오패스는 무조건 범죄자 라는 프레임이 있는데 잘못된 편견이다.

범죄를 저지르는 비율보다 저지르지 않는 비율이 더 많다는 것을 알고있었으면 좋겠다.)

 

 

 

 

 

 

요약을 해보자면


1. 소시오패스는 사이코패스의 하위개념이나 정확한 의학용어로는 쓰이지 않는다.

 

2. 사이코패스는 감정을 못 느낀다. 소시오패스는 일반인의 비해 감정을 못 느끼지만 감정을 느낄수 있다.

 

3. 그래서 사이코패스는 자기가 저지르는 범죄행위에 대해서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지 못하고, 소시오패스는 그것이 도덕과 윤리사상에 어긋나고, 자신이 이 행위를 하면 처벌을 받을 것을 알면서도 범죄행위를 저지른다.

 

 

 

 

 

오늘은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